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산업

반도체 산업 구조 완전정복: 설계부터 패키징까지 한눈에!

by 부자근육캥거루 2025. 4. 22.

반도체 산업 구조 한눈에 정리

 

안녕하세요 부자근육캥거루입니다.

반도체는 단순히 ‘컴퓨터 부품’이 아닙니다. 스마트폰, 전기차, AI, 사물인터넷까지,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기술의 중심에 있는 핵심 부품이 바로 반도체입니다. 그런데 반도체 산업은 그 구조가 꽤 복잡하게 나뉘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글에서는 반도체 산업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각 분야별 기업들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쉽고 구체적인 예시데이터를 통해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 글을 읽기전에 지난 편 글을 읽고 오시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2025년 반도체 산업 동향: AI·HBM이 이끄는 성장과 전망

안녕하세요 부자근육캥거루입니다.오늘은 반도체 산업의 2025년 동향을 알아 보려고 합니다.AI HBM이 이끄는 성장과 전망을 집중적으로 보려고 해요 재밌게 봐주세요!1.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매

ddoyeori.tistory.com

 


1. 반도체 산업 구조의 큰 그림

시스템 반도체 vs 메모리 반도체

반도체는 크게 시스템(System) 반도체메모리(Memory) 반도체로 나뉩니다.

  • 메모리 반도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DRAM, NAND 등이 대표적.
  • 시스템 반도체: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기능. CPU, GPU, AP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2024년 기준, 전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는 약 6,000억 달러이며, 그중 **메모리 반도체는 약 28%**를 차지하고, 나머지 70% 이상은 시스템 반도체입니다.

수직통합 vs 수평분업

  • IDM(수직통합형): 인텔, 삼성전자처럼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두 자체적으로 수행.
  • 수평분업 모델: 설계는 팹리스가, 생산은 파운드리가, 패키징은 OSAT가 담당. 대표적으로 애플(AP 설계) – TSMC(생산) – ASE(패키징) 모델이 있습니다.

2. 반도체 산업 주요 세부 분야

팹리스 (Fabless)

칩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 생산시설 없이 아이디어와 설계 기술력이 핵심입니다.

  • 대표 기업: 퀄컴, 엔비디아, 애플, AMD
  • 한국 대표 팹리스: LX세미콘, 텔레칩스

파운드리 (Foundry)

설계된 반도체를 실제로 제조하는 기업. 막대한 설비 투자와 공정 기술이 필요합니다.

  • 대표 기업: TSMC (점유율 약 60%), 삼성전자 파운드리(약 13%)

IDM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설계와 제조를 모두 자체 수행하는 모델.

  • 대표 기업: 인텔, 삼성전자, 마이크론

OSAT (후공정: 패키징/테스트)

반도체 칩을 완성된 모듈 형태로 만드는 마지막 공정. 수율과 열관리 기술이 관건입니다.

  • 대표 기업: ASE, Amkor (앰코코리아)

반도체 장비 및 소재

장비 기업은 공정별 핵심 장비를 공급하며, 소재 기업은 포토레지스트, 웨이퍼 등을 담당합니다.

  • 장비: ASML(EUV 장비 독점), Tokyo Electron, Applied Materials
  • 소재: 듀폰, 쇼와덴코, 동진쎄미켐

3. 시장 점유율과 글로벌 플레이어

삼성, TSMC, 인텔의 삼국지

  • TSMC: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 (2024년 점유율 60%)
  • 삼성전자: 메모리 1위, 파운드리 2위
  • 인텔: CPU 시장은 강자지만 파운드리 도전 중

장비/소재 시장의 일본과 미국의 강세

  • EUV 노광장비는 ASML이 100% 장악
  • 소재는 일본 기업들이 과점 (예: JSR, TOK)

4. 한국 반도체 산업의 특성과 미래

메모리 초강국의 딜레마

한국은 메모리 분야 세계 1위이지만,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은 아직 부족합니다. 2023년 기준, 한국의 시스템 반도체 점유율은 약 3% 수준.

시스템 반도체로의 전환 전략

정부와 민간이 함께 투자 확대 중.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등의 팹리스/파운드리 확대 움직임 주목.


마치며 : 반도체 산업을 이해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

반도체는 단지 전자제품의 부품이 아니라, 미래 산업 경쟁력의 핵심입니다. 각 분야를 이해하는 것은 향후 취업, 투자, 정책 분석에 있어 필수적인 안목이 됩니다.

 

*경제 정보를 분석하여 전달드릴 뿐 직접적인 투자를 권유하지는 않습니다. 투자는 신중해야하고 언제나 본인의 선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