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자근육캥거루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우리가 잘 아는 반도체 대표주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반도체 산업은 이 대기업들이 만드는 칩 앞단과 뒷단에 수많은 협력 업체가 얽혀 있습니다.
그중 장비를 만드는 기업들이 바로 반도체 장비주입니다.
오늘은 국내 장비주 중에서도 실적과 기술력을 모두 갖춘 원익IPS와 테스를 중심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반도체 장비 산업의 역할과 구조
반도체 칩 하나가 만들어지기까지는
웨이퍼 증착, 식각, 노광, 세정, 검사 등 수백 개의 공정이 필요합니다.
공정 단계 | 주요 장비 |
증착 (Deposition) | 원익IPS |
식각 (Etching) | 테스 |
노광 (Lithography) | ASML (독점) |
세정 (Cleaning) | PSK 등 |
이처럼 장비 없이는 반도체 생산 자체가 불가능하며,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설비 투자(CAPEX)를 하면 가장 먼저 수혜를 받는 종목군이 바로 장비주입니다.
원익IPS 분석: 증착 장비의 강자
- 주요 고객사: 삼성전자
- 제품군: PECVD, ALD 등 증착 장비
- 2024년 매출: 약 1조 1천억 원
- 영업이익률: 약 13%
- PER(2025E): 약 12배
원익IPS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라인에 공급하는 증착 장비의 독보적인 업체입니다.
최근에는 AI 반도체, HBM 전용 라인에 납품을 확대 중입니다.
테스 분석: 식각 장비 중심의 성장주
- 주요 고객사: SK하이닉스, DB하이텍
- 제품군: 식각 장비 (DRIE 등)
- 2024년 매출: 약 5,700억 원
- 영업이익률: 약 16%
- PER(2025E): 약 11배
테스는 미세공정 대응 능력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내는 장비주입니다.
최근 중국향 매출 증가와 함께 고부가가치 DRIE 식각 장비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두 기업의 실적 비교 및 수익성
구분 | 원익IPS | 테스 |
매출 (2024) | 약 1.1조 원 | 약 5,700억 원 |
영업이익률 | 13% | 16% |
기술 포지션 | 증착 | 식각 |
주요 고객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DB하이텍 |
두 기업 모두 반도체 업황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으며,
특히 HBM, AI 반도체 수요가 장비 발주로 이어질 때 실적이 빠르게 개선됩니다.
반도체 업황과 동행성 분석
장비주는 업황과 매우 높은 동행성을 가집니다.
즉,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앞으로 투자하겠다”고 말하면
가장 먼저 실적이 오르는 게 장비주입니다.
- 삼성전자: 평택 파운드리 증설 + HBM 라인 투자
- SK하이닉스: M15X 공장 투자, 청주 HBM CAPEX 확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원익IPS와 테스는 상반기 대비 하반기 수주 증가가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투자자 관점 요약 및 전망
- 원익IPS는 삼성전자 장비 벨류체인 투자자에게 안정적인 대안
- 테스는 중소형 장비주 중 실적과 성장성 모두 갖춘 유망주
- 밸류에이션은 양사 모두 2025년 실적 기준 PER 11~12배 수준으로 부담 없는 가격대
단기 변동성은 존재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소부장 핵심주로서 투자 포트폴리오의 일부로서 가치 충분합니다.
*경제 정보를 분석하여 전달드릴 뿐 직접적인 투자를 권유하지는 않습니다. 투자는 신중해야하고 언제나 본인의 선택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5월 원-달러 환율 하락의 원인: 통계와 데이터로 분석한 3가지 핵심 요인 (4) | 2025.05.18 |
---|---|
[8편] SK하이닉스 주식 분석 — HBM 시대의 선두주자 (6) | 2025.05.11 |
2025 대선 테마주 분석: 김문수 테마주 추천 TOP 5 총정리 (1) | 2025.04.17 |
물가가 낮아졌는데 왜 시장은 불안할까요? PCE 하락과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 (2) | 2025.04.16 |
2025년 엔화 환율 전망: 엔화 급등 강세 분석 (5)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