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산업

[12편] 국내 반도체 ETF 분석 - 초보자를 위한 테마형 투자법

by 부자근육캥거루 2025. 5. 15.

국내 반도체 ETF 분석 - 초보자를 위한 테마형 투자법

안녕하세요 부자근육캥거루입니다.

삼성전자도 사고 싶고, SK하이닉스도 사고 싶고,
그 외에 원익IPS나 하나마이크론도 매력 있어 보이는데,
한 종목을 고르자니 너무 어렵다고요?

그럴 때 가장 효율적인 해법이 바로 ETF(상장지수펀드)입니다.
오늘은 초보자를 위한 국내 반도체 ETF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국내 반도체 ETF란?

ETF는 여러 종목을 하나로 묶어 만든 "바구니형 주식"입니다.
반도체 ETF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장비·소재주까지 담겨 있어
개별 종목 리스크를 줄이고 업종 전체 수익률을 추종합니다.


국내 반도체 ETF Top 3

종목명 운용사 대표  편입 종목 특징
TIGER 반도체TOP10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전자, 하이닉스, 원익IPS 등 가장 대표적인 반도체 ETF
KODEX 반도체 삼성자산운용 삼성전자, DB하이텍, 테스나 등 테스트/파운드리 기업 포함
KBSTAR iSelect 반도체 KB자산운용 하나마이크론, SFA반도체 등 중소형 반도체주 비중 높음
 

이 ETF들은 전부 국내 증시에 상장되어 있고, 원화로 거래되며,
소액으로도 분산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종목 구성 비교 (2025년 4월 기준)

ETF명 1위 종목 구성비율 특징
TIGER 반도체TOP10 삼성전자 25% 이상 대형주 중심, 안정적
KODEX 반도체 하이닉스 약 20% 테스트 기업 포함, 성장성
KBSTAR iSelect 반도체 하나마이크론 약 12% 중소형 소부장 중심
 

TIGER는 대표기업에 집중,
KBSTAR는 성장성 높은 중소형주를 다수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익률 비교 (최근 1년 기준)

ETF명 1년 수익률 (2024.4~2025.4)
TIGER 반도체TOP10 약 +28%
KODEX 반도체 약 +24%
KBSTAR iSelect 반도체 약 +35%
 

KBSTAR는 HBM, AI 패키징 수요 덕분에 중소형주의 반등이 두드러졌습니다.
단,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투자 성향에 따라 선택이 중요합니다.


투자 시 주의할 점

  • 운용보수(수수료): TIGER 0.15%, KODEX 0.2%, KBSTAR 0.3% 수준
  • 구성 종목 확인 필수: ETF마다 포함된 종목이 다름
  • ETF도 가격 변동 있음: 분산되었을 뿐이지 ‘절대 안전한 상품’은 아님

투자자 관점 요약

  • 안정형: 삼성전자·하이닉스 중심 → TIGER 반도체TOP10
  • 성장형: AI, 소부장 중소형 테마 → KBSTAR iSelect 반도체
  • 균형형: 파운드리·테스트 기업 포함 → KODEX 반도체

ETF는 초보자가 반도체 산업 전체에 투자하기에 가장 효율적인 수단입니다.
소액 분할 매수와 중장기 보유 전략을 병행하면, 개별 종목보다 심리적으로도 편안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해외 반도체 ETF — SOXX, SMH, XSD 등 비교 분석을 통해
미국 반도체 기업에 투자하는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경제 정보를 분석하여 전달드릴 뿐 직접적인 투자를 권유하지는 않습니다. 투자는 신중해야하고 언제나 본인의 선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