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산업

[7편] 삼성전자 주식 분석 - 반도체 대장주의 현재와 미래

by 부자근육캥거루 2025. 5. 2.

 

삼성전자

안녕하세요 부자근육캥거루입니다.

삼성전자는 여전히 코스피 시가총액 1위입니다.
그러나 2025년 4월 현재, 삼성전자는
메모리 가격 하락, 파운드리 경쟁 심화, HBM3E 인증 지연
복합적인 리스크 속에 놓여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오늘은 최신 데이터를 반영해 삼성전자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삼성전자 기업 개요

  • 설립: 1969년
  • 본사: 대한민국 수원
  • 글로벌 매출 기준 세계 20대 기업 중 하나

특히 반도체 부문(DS)이 전체 영업이익의 핵심이며,
메모리(DRAM, NAND), 파운드리 모두 글로벌 2~3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구조

부문매출 비중(2024년)  주요 내용
반도체(DS) 약 52% 메모리, 파운드리
모바일(IM) 약 28% 스마트폰, 태블릿
소비자가전(CE) 약 10% TV, 가전
디스플레이(DP) 약 10% OLED, 대형 패널

2025년 들어 HBM3E와 AI 반도체 수요가 부각되면서
반도체 부문 비중이 다시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실적 및 수익성 분석 (2025년 1분기 기준)

  • 매출: 약 79조 원
  • 영업이익: 약 6.6조 원
  • 순이익: 약 7.58조 원

하지만 반도체 부문은 여전히 약세입니다.

  • DRAM, NAND 가격 하락
  • HBM3E 인증 지연(엔비디아 공급 지연)
  • 파운드리 부문 지속 적자

이 세 가지가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을 1조 원 수준에 그치게 했습니다.


삼성전자의 강점과 약점

강점

  • 글로벌 메모리 시장 점유율 1위
  • 미국 텍사스 공장 투자 확대 → 파운드리 중장기 경쟁력 강화 시도
  • 차세대 메모리(HBM4) 개발 선도

약점

  • 파운드리 경쟁력(TSMC 대비 수율, 고객사 부족)
  • HBM3E 인증 지연 → 엔비디아 주요 공급 실패 가능성
  • 메모리 가격 하락세 지속

반도체 업황과 주가 민감도

항목 방향 삼성전자 주가 영향
DRAM 가격 하락 부정적
HBM3E 공급 여부 지연 부정적
파운드리 경쟁력 강화 기대 긍정적

2025년 들어 삼성전자의 주가는 HBM 수요 확대보다
DRAM 가격 하락과 인증 지연 리스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 수준과 투자 포인트

  • 현재 주가: 55,700원 (2025년 4월 27일 기준)
  • PER: 약 11.25배
  • PBR: 약 0.96배
  • 배당수익률: 약 2.6%

투자 포인트 요약

  • HBM3E 인증 완료 여부가 단기 주가 핵심 변수
  • DRAM/NAND 가격 안정화 필요
  • 2나노 파운드리 진입 시점이 장기 모멘텀

투자자 관점 요약 및 전망

삼성전자는 여전히 "글로벌 반도체 대장주"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기대만으로 사기엔 이른 단계'입니다.

  • 단기 리스크: HBM3E 지연, 메모리 가격 하락
  • 중장기 기회: 파운드리, HBM4 개발 성공 여부

따라서,
분할 매수 + 실적 가이던스 확인 + 1년 이상 장기 투자 관점으로 접근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경제 정보를 분석하여 전달드릴 뿐 직접적인 투자를 권유하지는 않습니다. 투자는 신중해야하고 언제나 본인의 선택입니다.